
1. 📦 기본소득·금융지원
**청년 기본소득(Youth UBI)**
만 19~29세 이하 청년에게 연 100만 원 기본소득 지급 약속 .
청년도약계좌, 내일저축계좌
‘청년도약계좌’: 매월 일정 적립 시 최대 5,000만 원 저축 가능, 정부 매칭·비과세 혜택 포함 .
‘청년내일저축계좌’: 저소득 근로 청년 대상, 3년간 매달 10만 원 납입 시 정부가 최대 30만 원 매칭, 만기 시 총 1,440만 원 .

2. 💼 일자리·취업 지원
청년일자리 도약장려금
중소기업이 만 15~34세 미취업 청년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면, 1인당 연 최대 960만 원 지원 (최대 3인까지) .
청년내일채움공제
중소기업 취업 청년 대상, 2년 근속 시 목돈으로 수령 (300~1,200만 원) .
군 복무 인정 확대
군복무 기간 전체에 대해 국민연금 보험료 납부 분 일부 국가 지원 및 ‘군 경력 인정’ 확대 .
---
3. 🏠 주거 안정 및 금융
청년 전·월세 대출·보증 지원
전세대출 최대 2억 원, 월세대출도 지원. 금리는 연 1~2% 저금리 .
청년 맞춤형 공공임대주택
2025년 신규 10만 가구 계획, 입주 요건 완화 및 월세 지원 확대 (소득 5분위 이하, 월 최대 30만 원) .
취득세 감면 및 주거바우처
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취득세 50~100% 감면, 각종 주거 바우처 지원 .

4. 🎓 교육 및 심리·복지
학자금 대출 이자 전액 지원
졸업 후 3년 이내 저소득 청년 등 대상 .
정신건강(마인드케어) 지원
무료 상담, 심리검사, 치료비 등 지원 .
AI 맞춤형 교육 강화
인공지능 기반 개인맞춤 평가 확대와 청소년 아웃도어 교육 등 .
---
5. 🧩 정책 방향·사회제도
청년 고용 의무 비율 확대
공공기관 내 청년 고용비율을 3%에서 5%로 상향 .
4.5일제 주 4.5일제 도입 검토
장시간 노동 관행 개선을 통한 청년 삶의 질 향상 목표 .
---
✅ 종합 요약
분야 주요 정책
소득 청년 기본소득, 금융저축 계좌 확대
취업 기업 인력 채용 보조, 공공 고용 담합 강화
주거 저금리 대출, 공공임대주택 공급 확충
교육·복지 학자금 이자지원, 심리지원, AI교육 강화
노동환경 주 4.5일제 도입 검토, 고용 비율

'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'정년연장 65세로 추진결정ㅡ 국민연금개시연령과 같이 단계적 추진' (8) | 2025.06.12 |
---|---|
" 노인정책 총정리'-노인이 행복한 나라 (7) | 2025.06.12 |
'삼성 AI폰 개막 ㅡ삼성 갤럭시 25, S25 엣지 초슬립 디자인의 결정판' (10) | 2025.06.12 |
"미니멀라이프 실천하는 꿀팁 7가지'ㅡ꼭! 따라해보세요! 삶이 가벼워져요! (15) | 2025.06.12 |
"아이폰16. 신제품 드디어 나왔다!" 어떤점이 달라졌나! (0) | 2025.06.12 |